치아통증

치과 치료 후에도 통증이 지속되는 5가지 이유

speakwid 2025. 8. 4. 23:10

 다들 한 번쯤은 치과 진료 받으신 경험이 있으시죠?

어렵게 치료한 후에도 통증이 지속된다면 더더욱 힘들죠... 치료한 치과에 배신감마저 느껴집니다.

평소 불편한 점이 없었는데 검진을 갔다가 충치가 발견되어 치료를 했는데 갑자기 통증이 생겼다면??

치과 치료 후에도 통증이 지속되는 5가지 이유

 

깊은 충치였을 경우 치과에서 미리 주의사항을 안내 받았을 수 있지만, 아무런 설명을 듣지 못했다면 아래의 경우였을거예요.. 

 

1. 치수의 과민 반응: 신경치료 전 단계의 자연스러운 반응

충치가 깊게 진행된 경우(=충치가 치아 속에 있는 신경에 가까웠을거예요) 치료를 받더라도 일정 기간 동안 치아 신경(치수) 이 예민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특히 레진이나 인레이 같은 복합 수복물을 사용할 때, 치아 내부에 열이나 자극이 가해지면서 일시적으로 치수 과민증(dentin hypersensitivity) 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환자분은 찬물을 마시거나 공기를 들이마실 때 찌릿하거나 욱신거리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이 통증은 보통 1~2주 내에 자연스럽게 완화되지만, 시간이 지나도 지속된다면 신경치료를 고려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치료 후 예민한 증상이 나타나더라도 일시적일 가능성도 있다는 점을 알고 경과를 지켜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차가운 음식에 불편하다면 시일을 두고 차도가 있는지... 살펴보세요. 하지만 뜨거운 음식에 찌릿찌릿하거나 가만히 있어도 불편하다면 치료한 치과에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2. 교합 이상: 높이가 맞지 않아 생기는 압박 통증

치과 치료 후에도 통증이 지속되는 이유 중 하나는 교합 불균형, 즉 물렸을 때의 높이 차이에서 비롯될 수 있습니다. 보철물이나 충전재가 원래 치아보다 살짝 높거나 낮으면, 이를 물 때 특정 치아에 과도한 압력이 집중되며 저작 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통증은 보통 "눌리는 듯한 통증", "물 때만 아프다"는 식으로 표현되며, 치아 내부 신경이 지속적으로 압박되면 염증으로 악화될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조기에 교합을 재조정해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치료받은 치아가 평소보다 먼저 닿는 느낌이 있다면 치과에 꼭 말씀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높이를 살짝만 조절해 주면 불편감이 사라진답니다.

 

3. 숨겨진 치근단 염증: X-ray로도 놓칠 수 있는 미세 감염

치과 치료 중 특히 신경치료 후에도 통증이 계속된다면, 뿌리 끝에 염증이 남아 있는 치근단 병소(apical lesion) 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때로는 염증이 아주 미세하거나, 엑스레이 상에서도 명확히 보이지 않아 치과의사도 1차적으로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환자분 입장에서는 “치료 다 받았는데 왜 계속 아픈가요?”라는 의문이 들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CBCT(3D CT) 촬영 등을 통해 정밀 검사를 진행할 수 있으며, 필요시 재근관치료(재신경치료) 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통증이 일정 기간 이상 계속되거나, 음식을 씹을 때만 유독 아프다면 꼭 뿌리 끝의 상태를 다시 확인해 보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4. 턱관절과 저작근의 문제: 치아 아닌 턱의 통증일 수 있음

치과 치료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지만, 턱관절 장애나 저작근의 이상 긴장 으로 인해 치아 통증처럼 느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특히 긴장을 자주 하거나 이를 악무는 습관, 이갈이 등이 있는 경우에는 턱 주변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하면서, 어금니 주변에 뻐근한 통증이나 눌림 통증이 전달되기도 합니다. 실제로 여러 치과에서 진료를 받았지만 원인을 찾지 못하고, 나중에 턱관절 전문의에게 진단받는 사례도 적지 않습니다. 치료 부위와는 전혀 다른 치아에 통증이 나타난다면, 근육 또는 관절에서 비롯된 방사통일 가능성도 고려하셔야 합니다. 이 경우에는 물리치료나 나이트가드, 생활 습관 교정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5. 신경병증성 통증: 신경 손상 또는 감각 이상이 원인일 수 있음

치과 치료 후에도 통증이 수주 이상 지속되고, 진통제에도 반응하지 않으며, 칼로 찌르는 듯한 날카로운 통증, 화끈거리는 느낌, 또는 전기 자극처럼 찌릿한 감각이 있다면 신경병증성 통증 을 의심해야 합니다. 이런 경우는 치아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치료 과정 중 미세한 신경 손상이나 신경계의 비정상적인 반응 으로 인해 통증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특히 발치, 신경치료, 임플란트 시술 후에 종종 발생하며, 감각 저하 또는 과민 반응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이 통증은 일반적인 치과 치료로는 호전되지 않으며, 신경과 또는 통증클리닉에서 전문적인 진단과 약물치료 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만약 통증의 양상이 일반 치통과 다르거나 치아 여러 개에 번지는 듯한 느낌이 든다면, 빠르게 전문의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치과 치료 후 통증이 계속된다고 해서 모두가 치료 실패는 아닙니다. 오늘 살펴본 것처럼, 치수의 과민 반응, 교합 문제, 치근단 염증, 턱관절 장애, 신경병증성 통증 등 다양한 원인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통증의 양상과 위치, 기간을 정확히 기록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통증이 오래 지속된다고 자가 진단으로 약을 복용하거나 방치하지 않는 것입니다. 복합적인 통증일수록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치과뿐만 아니라 구강내과, 이비인후과, 신경과 등과의 협진을 고려하는 통합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치과를 선택하시는 것도 중요합니다.